반응형
2026년부터 적용될 최저임금이 결정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내년도 시급 및 월급은 물론, 적용 시기와 합의 과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올해보다 얼마나 올랐는지, 누구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지금 확인해보세요! 😊
📌 내년 최저임금 적용시기
2026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최저임금이 적용됩니다. 고용노동부는 관련 내용을 2025년 8월 5일까지 고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모든 고용주는 내년 1월 1일부로 최소 시급 10,320원을 적용해야 하며, 주휴수당 등을 포함할 경우 실수령액도 달라질 수 있으니 꼼꼼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 내년 최저임금 계산
💡 시급 10,320원을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을 계산해보겠습니다.
- 월급 계산: 시급 × 월 근로시간(209시간)
- 연봉 계산: 월급 × 12개월
항목 | 계산 결과 |
---|---|
시급 | ₩10,320 |
월급 (209시간 기준) | ₩2,156,880 |
연봉 | ₩25,882,560 |
✅ 주휴수당 포함 시 월급은 더 높아질 수 있으며, 정규직이라면 각종 수당 및 상여금에 따라 실수령액은 달라집니다.
🔎 계산은 단순 환산이며, 실제 급여 계약은 계약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내년 최저임금 합의결과
이번 최저임금 결정은 17년 만에 노·사·공익위원 합의로 이뤄졌습니다. 2025년 7월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12차 전원회의에서 확정된 내용입니다.
합의까지의 주요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익위원이 제안한 인상 구간: 1.8% ~ 4.1%
- 노동자 측 최종안: 3.6%
- 사용자 측 최종안: 2.4%
- 최종 합의 인상률: 2.9%
다만 민주노총 일부 위원은 낮은 인상률에 반발해 회의 도중 퇴장했으며, 한국노총, 사용자위원, 공익위원이 찬성하여 가결 처리되었습니다.
📊 여기에 각 정부 첫해의 최저임금 인상률 비교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정부 | 첫해 인상률 |
---|---|
문재인 | 16.4% |
박근혜 | 7.2% |
이명박 | 6.1% |
윤석열 | 2.9% |
반응형